본문 바로가기

서평

미디어와 블로그

미디어 2.0 : 미디어 플랫폼의 진화
명승은 지음   2008-03-28
진화하는 미디어 전반에 대해 다룬다. 과연 변화가 새로운 것인지, 기존 미디어와는 어떠한 관계를 설정해야 하는지를 실험적인 블로그와 기업의 사례로 탐구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과 그에 대한 대응 전략을 이야기한다.




블로그를 운영하고 그로 인해 내 삶이 더욱 풍요로워지고, 자유로워지길 바라는 한 인간으로 이 책은 무척이나 관심이 갔다. 당연하지 않는가. 블로그는 어느덧 1인 미디어로서의 성격이 점점 진해지고 있으니까. 


블로그가 1인 미디어다 아니다라는 점은 여기서 이야기하긴 너무 방대하다. 그래서 일단 통과하고 책에 대한 감상을 써보려고 한다. 

책은 블로거의 입장에서는 너무 미디어적이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책 제목부터가 미디어 2.0 아닌가. ^^
미디어 2.0이야기가 나오면서 자연스럽게 블로그가 이야기되었고 책의 80% 이상은 미디어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서 미디어에 종사하고 있지만 현재의 모습에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꽤 도움이 될만한 책이다. 

미디어를 공부해본 적도 없고 종사해본 적도 없는 내게는 약간 동떨어진 이야기여서 간간이 블로그이야기가 나온다는 것을 위안삼아 중간중간 건너뛰기도 하면서 소풍가듯 읽었다. 

사실 은근히 바랬던 것은 블로그로 1인 미디어를 구축하는 법이라든지, 그래서 어떻게 운영해야하는지에 대한 것이었는데 그것을 딱 꼬집어서 이야기하진 않는다. 다만 미디어들을 역사와 미래를 다룬 이야기에서 골라골라 블로그로 1인미디어를 만들어 살아남는 것은 생각해볼 수 있겠다. 

하지만 역시 미디어와 블로그는 그 규모와 자산이 다르므로 블로그로서 살아남으려면 덩치가 너무 커서 어쩔 줄 모르는 미디어들이 못 오는 골목으로 쏘다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른바 비교우위를 통한 차별화전략이다. 

그러면서 미디어1.0이 범하고 있는 실수들을 답습하지 말아야지. 그런 면에서 이 책의 개인적인 가치를 찾았다. 블로그를 1인미디어로 활용하여 멋지게 살아남는 사례가 많아진다면 블로그로서의 미디어 관련 책도 분명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으로는 입장을 바꿔 미디어들이 못하는 것들, 그래서 구멍이 뻥뻥 뚫려있는 욕구들을 채워줄 수 있는 역할을 블로그가 훌륭하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기차가 갈 수 없는 곳을 버스가 등장하여 가주었고, 버스가 갈 수 없는 곳을 택시가 등장하여 가주었다. 택시가 갈 수 없는 곳을 오토바이가 등장하여 가주었다. 바쁜 연예인들을 원하는 장소까지 데려다준다며. ^^

미디어가 갈 수 없는 곳을 블로그가 데려다줄 수 있다면 세상의 많은 니즈들을 채워줄 수 있는 좋은 찬스아니겠는가.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영역은 이런 식으로 자꾸자꾸 분화되는 것이 아닐까싶다. 

다음엔 블로그로서 1인미디어의 역할을 제대로 해내는 사례들을 묶어 마이크로미디어에 대한 책을 좀 내주셨으면 좋겠다. ^^